- [ 프로그래밍 ]코드트리 2025 리뉴얼 완전 분석: UI/UX 개편부터 백준·프로그래머스와의 비교까지2025-02-09 11:56:40들어가며블로그를 운영하다보면, 소위 말하는 조회수 '대박'이 터지는 글들이 몇 개 생긴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코딩테스트 학습 서비스인 코드트리에 대한 사용 후기를 작성했던 글이다. 2024.03.31 - [프로그래밍] - 코딩테스트 학습 서비스, 코드트리 사용 후기 코딩테스트 학습 서비스, 코드트리 사용 후기들어가며올해 초, 글또 9기 공지 사항에 "코드트리"라는 업체에서 유료 이용권을 후원해주신다는 내용의 공지가 올라와 코딩테스트 대비를 할 겸, 어떤 서비스인지 궁금하여 신청을 하게 되었다kugora.ng 당시에 크래프톤 정글 4기를 하느라 무척 바빴던 시기여서, 코드트리에서 제공해주신 유료 로드맵이 아닌 무료 커리큘럼 1인 "Novice Low"만 주구장창 풀었다. 그것도 초반에는 의욕이 넘쳐서 ..
- [ 프로그래밍/CS Essentials ]데이터베이스 인덱스 기본 개념 (DB Index Concept)2025-01-16 16:28:01들어가며며칠 전, 모 기업의 직무 테스트를 보러 갔다. CS 기초에 대한 필기 시험이었는데 그 중, 데이터베이스의 Index에 대한 내용을 모두 작성하지 못하여 부끄러운 마음에 다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Index는 DB의 높은 TPS(Transcations Per Second)와 빠른 응답 속도의 필요성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때문에 면접 및 실무에서 자주 다뤄지는 핵심 주제이고, 내가 지원했던 모바일 게임 서버에서 특히 Index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먼저 밝힌다.Index란?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성능을 높이기 위해 특정 컬럼(Column) 혹은 컬럼들의 값을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자료 구조를 마련해 두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책의 목차나 색인(index)과 비슷한..
- [ 프로그래밍/CS Essentials ]CS:APP Malloc Lab2024-04-15 00:57:27들어가며크래프톤 정글 4기에서 구현해야 했던 Malloc Lab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했던 사전 지식을 정리해본다.가상 메모리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을 실제 물리적 메모리보다 크게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실제 메모리보다 많은 데이터를 처리한다.가상 메모리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일부를 마치 메모리처럼 사용하게 해준다.실제 메모리는 제한적인데, 이 기술을 사용하면 마법처럼 메모리가 더 커진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페이징가상 메모리를 작은 조각들로 나누는 방식으모 이 작은 조각들을 '페이지'라고 부른다.컴퓨터는 이 페이지들을 필요할 때마다 실제 메모리로 가져오거나 실제 메모리에서 다시 하드디스크로 옮긴다.이렇게 하면, 실제 사용 데이터만 메모리에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메모..
- [ 프로그래밍/CS Essentials ]Red-Black Tree (레드-블랙 트리)2024-02-18 23:57:24들어가며 현재 크래프톤 정글 4기 과정의 Part. 2 를 진행 중이다. 이 글에서는 4주차 주제인 레드-블랙 트리의 기본 개념을 다룬다. 레드-블랙 트리란? 균형 이진 탐색 트리의 한 종류로, 각 노드가 빨간색이나 검은색의 속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다양한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맵, 세트 등의 자료 구조를 구현하는 데 사용한다. ex) C++의 STL(Standard Template Library)에서 map, set, multimap, multiset 등 사실 레드-블랙 트리 자체의 개념은 양이 많지 않으나 이를 이해하기 위한 사전 지식은 지난 최소 스패닝 트리와 마찬가지로 상당했다. 사전 지식 이진 트리 (Binary Trees) 이진 트리의 기본 구조와 특성(각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
- [ 일상 ]크래프톤 정글 4기 합격 후기2024-01-12 23:58:56들어가며2023년 12월 8일, 크래프톤 정글 4기에 최종 합격했다는 문자를 수신했다. 그리고 2024년 1월 8일부터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에서 정글러로써 과정을 진행 중에 있다. (여기서는 교육생들을 정글러라고 호칭한다. 수료하면 강타 싸움만큼은 지지 않을 것 같다.) 언젠가는 합격 후기를 써야 계속 생각을 했는데, 학기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정글 과정이 시작되었다. 시작과 동시에 그동안의 일상과 완전히 단절되어 정글에서 주어지는 과제, 학습, 그리고 프로젝트에 모든 시간을 쏟고 있다. 이러다 합격 후기와 수료 후기를 동시에 쓰게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들던 와중에 오늘 해야할 일에 자정까지 제출해야 하는 과제가 눈에 띄었다. "특별한 과제 - 에세이 제출"이라는, 나를 찬찬히 돌아보는 시간을 ..
728x90